관음죽(14)
-
관음죽 소판금(小判錦)에서 호(縞)가 나오다
관음죽의 한 종류 소판(小判)입니다. 일반적인 관음죽에 비하여 잎자루가 짧은 편이며 잎맥이 넓은 편에 속합니다. 줄기의 대가 굵고 바른 편입니다. 또 잎이 두꺼워 어린 잎에 날 때는 두꺼운 종이가 구겨진 모습처럼 올라옵니다. 잎자루가 짧은데다가 잎맥이 넓어 아주 무성하고 부드럽게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음은 소판의 변이종 소판금(小判錦)입니다. 일반적인 푸른잎의 소판에서 선명하지않은 무늬가 가끔 발현되거나 연두빛의 잎에 더 짙은 초록의 무늬가 생기기도 합니다. 특히 새로 나오는 잎의 경우 잎자루 안쪽부터 연두빛으로 밝게 물든 것처럼 경우가 많으며 더 성장하면 무늬는 사라지고 일반적인 청엽이 됩니다. 전체적인 색감은 일반 관음죽보다 밝은 녹색을 띠고 있습니다. 2007년 처음 들여왔을 당시의 소판금의 ..
2013.09.15 -
나사 공기정화식물 TOP 50
나사에서 발표한 공기 중 독성 화학물을 제거하기 위한 가장 좋은 식물 TOP 50가지를 소개합니다. 전체점수는 공기정화능력, 관리의 용이성, 병충해 저항력, 증산능력(공기중 습도 조절능력)을 종합한 것입니다. 독소제거는 공기중 독성화학물을 제거하는 능력만으로 표기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거나 기후조건 등, 여건 상 잘 키울수 없는 식물도 다수 포함되어있지만, 대부분의 식물이 우리나라에서 가정원예용으로 키우는 관엽, 초화류가 포함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꾸어말하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식물들은 공기를 정화시키고 증산작용과 음이온 배출을 통해 환경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입니다. 심지어 잡초들도 공기정화를 한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식물이 실내공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이상 되..
2012.09.07 -
남산금 2010.04.23
-
관음죽 종려죽
명칭 과 명 : 야자과(Palmae) 학 명 : Rhapis 영 명 : Large lady palm, Lender lady palm 원산지 중국, 베트남, 라오스 종류 및 특성 관음죽(Rhapis)은 흔히 레이디 팜이라고 부르며 1600년대 이후부터 재배되고 있는 고전적인 종류이다. 12종이 있는데 이 중에서 주요 재배종은 중국 남쪽에서 자생한다. 라피스(rhapis)라는 단어는 그리스어로 ‘바늘(needle)’이라는 말이다. 관음죽 종류는 모두 키가 작고 촘촘하며 다발을 이루어 자라는 야자이다. 줄기 밑둥은 섬유 조직망으로 덮혀있어 잎의 아랫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해주고 있다. 관음죽은 무성하게 우거져 있는 아열대성의 상록수림에서 지피식물로 자란다. 높은 광에서 견디기도 하지만 지피식물로 자라는 식물이..
2009.09.25 -
관음죽의 종류
관음죽 무늬의 종류는 크게 세가지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1.청(靑:aoba)잎에 무늬가 없는 녹색의 일반적인 관음죽 2.호반(縞班:shima)대부분의 무늬관음죽이 이에 속합니다. 녹색과 황백색 또는 유백색부분이 엽맥과 평행으로 불규칙하게 들어간 호(縞)가 있다. 색이 선명한 것이 좋다. 천산지호, 동해금, 달마지호 등. 3.도반((圖班:zufu)호반(虎班)을 나타내며 백황색의 무늬가 불규칙적으로 흩어져 무늬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 특이해서 구하기 어렵다. 달마도 등 4.금사반(錦絲班:nishiki)호반에서 세분화 된 것으로써 매우 가는 무늬로 잎에 옅은 녹색과 옅은 황색의 선이 엽맥과 평행으로 들어있는 것. 서황금, 능금, 남산금, 영산금 등. 대량생산으로 구하기가 어렵지않다. 이미지 : 觀棕竹圖鑑(..
2008.03.23 -
관음죽 소판
일반 관음죽에 비해 잎이 넓고 두터운 편이다. 줄기는 굵은 편이며 성장속도는 여느 관음죽과 비슷하다. 잎줄기가 짧은 편이라 시원하게 뻗어가는 모습은 없지만 빽빽하고 무성하게 키우면 보기 좋을 듯하다
2007.12.20 -
무늬 관음죽 종류_2 2007.11.23
-
무늬 관음죽 종류_1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2007.11.23 -
관음죽 기르는 방법 田村卓司(Tamura Takuji)
글쓴이 : 日本觀棕會 理事 田村卓司(일본관종회 이사 Tamura Takuji) 의 글을 번역함 용토 관종죽 재배의 용토는 배수가 잘되고 통기성이 좋아야 하며 그리고 어느 정도의 보수력이 있으면 됩니다. 딱히 종류를 정해서 쓰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만년청과 같이 강모래 종류가 많지만 그다지 신경써야 할 필요는 없고 동생사(桐生砂), 경석(軽石) 등, 그 지역에서 구하기 쉬운 용토에서도 충분합니다. 赤玉土(적옥토)는 보수성이 있어 물주는 회수가 제한적일 경우 권장할 수 있지만, 아무래도 알이 부스러지기 쉬워 미진(ミジン)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어도 1년에 1번 분갈이가 필요합니다. 녹소토(鹿沼土)도 보수성이 있습니다만 산성이기 때문에, 소량 사용하는 정도로 합니다. 카고시마 지방에서는, 경석(軽石)으로 ..
2007.11.21 -
관음죽 기르기
글쓴이: 愛培者・中島 滿일본 웹사이트에서 발견한 글을 일한번역기로 번역 후 한글로 다듬었습니다. 〈관음죽이란〉 관음죽은 일본, 대만 및 중국 남부 원산의 야자과식물로, 에도시대 이전보다 애호 되고 있어 경사스러운 재수의 좋은 식물, 행복의 상징으로서 잘 알려져 관엽 식물의 왕자로서 넓게 보급되어 있습니다. 〈관음죽·종려죽의 육아 방법〉 *봄(4, 5, 6월) 4월에 접어들면(자) 뿌리가 활동을 시작합니다. 옮겨 심고, 포기나누기 이식의 최적기는 5월부터 6월에 걸쳐서입니다. 저는 최저 온도가 12℃ 이상이 되고 부터 하고 있습니다. 우선 화분의 옆을 지탱하고 화분의 옆을 손으로 가볍게 치면서 모래를 털어내고 무리하게 나무를 뽑아 내지 않도록 해서 꺼냅니다. 뿌리가 모래를 껴안고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물..
2007.11.11 -
관음죽 진품종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2007.11.11 -
관음죽 입문용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2007.11.11